메뉴 건너뛰기

2014.02.03 15:24

덕률풍

조회 수 22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덕률풍.png

덕률풍, 애 업고 갓 쓰고 구경하는 거나 총 들고 구경하는 건 古今同

 

   1876년에 벨이라는 미국 사람이 우리나라 말로는 덕률풍(德律風)이라는 전어기(傳語器)를 발명했는데 우리나라에는

1882년에 상운이라는 사람이 처음 도입 했다. 이때는 120m 거리에서만 통화가 가능했다.

1898년에 궁내부에 3대, 각 부에 한 대씩 해서 총 10대가 가설됐고 덕수궁에 교환대가 있었다.

   고종은 덕률풍을 좋아해 아랫사람들에게 칙교(타이르는 말)를 내릴 때면 내시가 미리 칙교를 받을 당사자에게 알려주면 당사자는 붉은 띠를 두른 조복을 입고 상투를 고쳐 세우고 준비를 하고 있다

전화벨이 울리면 덕률풍을 향해 네 번 절하고 엎드려 두 손으로 공손히 수화기를 들어 귀에 대고 있어야 했다.

어떤 신하들은 “외국에서 들여온 요상한 기계로 황제의 목소리를 전함은 황제의 권위와 국가의 체면을 위해서도 아니 될 일이옵니다.”라고 아뢰기도 했다.

고종은 조대비의 동구릉에 문안을 덕률풍으로 대신했다. 수화기를 참봉능직이가 묘에 대고 있게 하고 고종은 조 대비에게 문안을 드렸다. 고종이 죽은 다음 순종도 덕률풍을 고종이 묻힌 홍릉에 가설하고 문안을 했다.

덕률풍을 관리하는 한성전화소가 생기고 1902 년에 한성과 인천사이에 전화가 개통됐다.

이때부터 일반인들도 덕률풍을 쓰기 시작했다.

   덕률풍이란 말은 “텔레폰”이란 영어를 중국식으로 음역한 것이다. 크기는 세로 50cm, 가로 90cm 다. 일반인들은 궁중에서와 달리 전화를 꺼려 해 좋아하지 않았고 덕률풍(風)의 마지막 자가 바람풍자이어서 그랬는지 덕률 바람이 불어와서 가물고 농사가 안 된다고도 하고 덕률풍속에는 귀신이 들어 있다는 소문도 났다.

전화가 오면 벌 벌 떠는 사람도 있었다. 덕률풍 옆에는 대화를 감청하는 전어감사란 관리가 숨어서 통화 내용을 듣고 있었는데 덕률풍으로 전화할 때는 상대방이 누구 인줄 보지 못 하기 때문에 함부로 상스러운 말이나 예의에 어긋나는 말이나 협박하는 말이나 거짓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마치 아프리카의 어떤 곳에 한국 사람이 사진관을 내는데 선교사로 와 있는 목사가 “사진관내면 망한다.”면서 극구 말렸다. 여기 사람들은 사진을 찍으면 혼이 나간다는 미신 때문에 절대 사진을 안 찍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사진관을 냈다.  사람들이 처음에는 안 오더니 얼마가 지나면서 하나씩 둘씩 와서 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에 나온 자기 얼굴을 보고 신기해서 너도나도 사진을 찍으러 와서 돈을 많이 벌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1876년 개항하자 외국인들이 들어오면서 사진을 알게 되었다. 그 때까지 우리나라에는 사진이 없어서 신문에도 사진이 없다.

  우리들이 지금 볼 수 있는 흑백으로 된 이조 말 우리 조상들의 생활상의 사진은 다 외국인들이 찍은 것이다.

우리나라는 개항되기 전까지는 쇄국정책으로 서양에 알려지지 않은 은둔의 나라였다.

한국은 “금단의 나라” 또는 “고요한 아침의 나라(1885)”라고 미국의 천문학자 로웰(Percival Lowell)이 처음 말 했다.

큰 사건인 러일 전쟁과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서양에 우리나라가 차츰 알려지기 시작했다.

1800년대 말에 일본사람들이 들어와 생명관, 봉선관, 옥천당이란 사진관을 냈다.

   한국 사람으로는 김규진이 일본에 가서 사진 기술을 배워 와 1903년에 사진관을 냈다.

여자들은 여자사진사가 안방에서 사진을 찍어 줬는데 음력 정월이 되면 사진관 앞에 내외국남녀가 1천 여 명씩이나

모여 수용할 수가 없었다고 <대한 매일 신보>가 1908년에 보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사진 값을 내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 3 년 만에 그 사진관은 문을 닫을 지경이 되었다고 한다.

 

   러일전쟁 (1904)중에 일본군이 평양에 입성할 때 이를 구경하기 위해 흰옷을 입은 사람들이 성 아래위로 빼곡하게 모여 들었다.

갓을 쓴 남자, 아이를 들러 업은 아낙내들이 산위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는 등 일본군대를 보러 나온 구경꾼들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의주에서 일본군과 러시아 군이 전투하는 장면을 보기 위해서다.

이런 장면의 사진은 미국과 영국의 잡지사 기자들이 러일전쟁을 취재하러 와서 찍은 사진 자료다.

이들 외국 잡지 기자들은 러일전쟁의 전쟁터가 조선 땅이었기 때문에 취재하러 온 것이다.

이렇게 남의나라 군대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서로 전쟁을 해도 막을 길이 없었고 남의 나라군대가 싸우는 것을

구경만 했다.

   대한제국은 외국 군대를 나가라 하지도 못하고 궁여지책으로 할 수 없이 1904년 1월 21일 “조선은 독립된 중립국”임을 선포하게 됐다. 일본 군인들은 또 2월9일에 한성에 들어와 제나라인 양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전쟁을 빙자로 판을 쳤다. 그리고 조선정부를 강압해 “한일의정서”를 체결했다.

외국잡지에 러일 전쟁에 “조선 사람들은 철저하게 구경꾼 이었다”고 소개 했다. 구경하는 조선인들의 사진은 외국에서 온 기자, 선교사, 지리학자, 여행자들이 찍은 사진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규모면에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지금우리는 4대강국의 합의 없이는 한국단독으로는 군사행동이 제어 되어 있다.

그 때에 비하면 우리는 무기도 많고 군대도 많지만 아직도 구경하는 꼴이나  아닌지 그 때와 얼마나 달라졌는지 손 꼽아보게 한다.

그 때 우리는 흰옷을 입고 애를 업고 갓 쓴 구경꾼이었지만 지금은 세계의 덕률풍 강국(통신)이 되었고 많은 총(무기)을 들고만 있는 구경꾼 꼴이 되었으니 고금동(古今同)이 아닌가?  

 

-'시카고 문경' 차락우-


  1. 돈은 주인을 알아본다-차락우

    돈은 주인을 알아본다 차락우/시카고 문경 돈은 눈이 없어도 주인을 알아본다. 난세에 영웅 나고 부자 난다. 눈먼 돈도 임자를 찾아 간다. 한국역사책을 읽어보면 우리나라는 수많은 외세의 침입으로 나라가 편치 않을 때가 많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중국 ...
    Date2014.07.07 By관리자 Views919
    Read More
  2. No Image

    차락우의 세상읽기 ..통일은 너그럽게

    "통일은 너그럽게..." 차락우 박사/전 시카고 평통회장 서울에 김일성대학 총동창회. 북한 출신이 통일한국 대통령 된다? 북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면 출세가도가 열리고 신랑감으로는 0 순위다. 각 시도 군으로 부터 뽑혀온 1등 수재와 성분 100 점...
    Date2014.03.03 Byskyvoice Views1715
    Read More
  3. No Image

    삼천리 반도 돈벌러 가세....

    <차락우 박사의 세상읽기> “삼천리 반도 돈 벌러 가세. 미국은 더 이상 못 참아” 세계 굴지의 투자가들이 삼천리 반도에 눈독을 드리고 있다면 누가 믿을까? 답은 그렇다가 맞다. 왜 돈께나 있는 사람들이 한반도에 무엇 때문에 눈총을 쏘게 됐나 그것은 한반...
    Date2014.02.20 Byskyvoice Views1344
    Read More
  4. No Image

    덕률풍

    덕률풍, 애 업고 갓 쓰고 구경하는 거나 총 들고 구경하는 건 古今同 1876년에 벨이라는 미국 사람이 우리나라 말로는 덕률풍(德律風)이라는 전어기(傳語器)를 발명했는데 우리나라에는 1882년에 상운이라는 사람이 처음 도입 했다. 이때는 120m 거리에서만 ...
    Date2014.02.03 Byskyvoice Views2264
    Read More
  5. No Image

    안중근 의사 기념관 설치

    왜 중국은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자기 땅에 설치했나!. 중국도 변덕쟁이? 한 중 관계는 분명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이 현실로 나타났다. 중국정부는 흑룡강 성 하얼빈 역 귀빈실에 70평(2600sq)규모의 안중근 의사 기념관을 극비리에 자비를 들여 설치하고 하...
    Date2014.01.30 Byskyvoice Views2337
    Read More
  6. No Image

    25달러로 할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멋진 일 - 사회적 기업 사례 1 KIVA

    가난에서 탈출하고자 소규모 사업이라도 해보고자 하지만 상업용 은행의 문턱이 높아 대출을 꿈꿀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1 년에 1억 7천 7백만불(1,878억 3,240만원) 이라는 큰 돈을 이런 사람들에게 소액 대출을 해 주고 있는 한 비영리 단체가 있다. 전 ...
    Date2013.12.04 Byskyvoice Views2963
    Read More
  7. No Image

    사회적 기업 (Social Entrepreneurship) - 간격을 메우라! (1)

    사회적 기업이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개념으로 그치지 않고 여러 사례(case)들이 일어나 번지고 있습니다. 사실 학자들에게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일어난 것이기에 일종의 운동 처럼 힘을 얻어가고 있습니다. 이제는 운동을 넘어서 한국의...
    Date2013.11.26 Byskyvoice Views2009
    Read More
  8. No Image

    내 나라 산과 바다 가을 여행 -형제는 용감 했다

    <육길원 주필 / 언론인> 전라북도 고창의 천년 고찰 선운사, 절 뒤뜰 마당 감 나무에 탐스럽게 익은 노란색 감이 주렁주렁 열려 있다. 고향의 가을에 도취한 나는 함께 동행한 형님과 한 커트를 사진기에 담았다. 최근 한국을 다녀왔다. 팔순을 향해 돌진하는...
    Date2013.11.09 Byskyvoice Views2206
    Read More
  9. No Image

    육길원의 시사칼럼-전씨 일가의 죄와 벌

    전씨 일가의 죄와 벌 “과거 정부는 무엇을 했는가” <육길원/주필.언론인>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지가 벌써 6개 월이 되었다. 비단 국민 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 자신이 생각해도 그동안 나라 정세가 격랑에 휩싸인 배처럼 밀려오는 파고에 모르기는 해도 어...
    Date2013.09.30 Byskyvoice Views2031
    Read More
  10. No Image

    육길원의 시사칼럼 총으로 세운 나라는 총으로 망한다

    <육길원 주필 / 언론인> 총기공격은 전선 없는 전쟁터 73년 시카고에 처음 이민을 왔을 때, 저녁이면 가끔 전쟁터 처럼 콩 볶는 듯한 총소리가 났다. 이런 분위기는 그러지 않아도 낯설고 다른 세상에 직면해, 어리바리한 우리 내외를 공포에 질리게 하고 우...
    Date2013.09.27 Byskyvoice Views20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