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영의 아침편지-정년 퇴직 후에 다니는 대학

by skyvoice posted May 3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졸업.png

어느 노인이, 반평생을 다니던 직장에서 은퇴한   그동안 소홀했던 자기 충전을 위해 대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다.

처음에 나간 곳이 세계적인 명문인 하바드 대학원, 이름은 그럴싸하지만 국내에 있는 하바드대학원은 ""는 일도 없이 ""쁘게 ""나 드는 곳이다.

하바드 대학원을 수료하고는 동경대학원을 다녔다. "" ""노당 이라는 곳이다.

동경대학원을 마치고 나니 방콕대학원이 기다리고 있었다. "" "" 틀어 박혀 있는 것이다.

하바드 -> 동경 -> 방콕으로 갈수록 내려 앉았지만 그래도 국제적으로 놀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러는 사이 학위라고 할까 감투라고 할까 하는 것도 몇 개 얻었다.

처음 얻은 것은 화백 ""려한 "".

이쯤은 잘 알려진 것이지만 지금부터는 별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두번째로는 장노다. 교회에 열심히 나가지도 않았는데 왠 장노냐고? ""기간 ""는 사람을 장노라고 한다는군.

장노로 얼마간 있으니 목사가 되라는 것이다. 장노는 그렇다 치고 목사라니... ""적 없이 ""는 사람이 목사라네! 

기독교 감투만 쓰면 종교적으로 편향 되었다고 할까봐 불교 감투도 하나 썼다.

그럴듯 하게 "지공선사" ""하철 ""짜로 타고 경노석에 정좌하여 눈감고 참""하니 지공선"" 아닌가.........

-유머집 중에서-

 

굿모닝~!!!

모르면서 아는 척하며 살려니 사람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산다. 나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좋아한다.

몇년 전에 조카딸이 돈들여 쌍커풀을 만들어서 서양 사람들이 동양인 모델을 뽑을 때 쌍커풀 없는 사람을 뽑는다고 우회적 표현을 했다가 오랫동안 보지를 못했다.

, 내 소신을 말한거니 후회는 없다. 심각하고 삭막한 세상에서 웃음을 머금고 산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나는 웃을 때는 박장대소할 때가 많다. 운동이라곤 숨쉬기 운동 밖에 하지 않지만 잘 웃어서 건강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오늘은 함께 웃어 보자고 유머 한 편을 올려 보았다. 답지 않은 글인지는 모르지만 웃음은 좋은 것 아닌가?